우리들의 힐링타임

불안/양가적 애착유형의 영아들: 존 볼비의 불안정애착(2)

지난 글에는 존 볼비의 불안정애착 중 회피적 애착유형의 영아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. 이번 글은 불안정애착 중 불안/양가적 애착유형의 영아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.

 

불안/양가적 애착

1. 불안/양가적 애착유형을 가진 영아들의 주요행동 특성

불안/양가적 애착 유형을 가진 영아들은 주양육자와의 일관된 애착 형성에 어려움을 겪으며, 주양육자에 대한 강한 의존성과 불안정을 동시에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. 이러한 영아들의 주요 행동 특성들을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:

(1) 강한 애정 요구

  • 주양육자에게 강한 애정과 주의를 요구하며, 주양육자가 자리를 떠날 때 큰 불안을 느낍니다.
  • 주양육자가 돌아올 때는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, 주양육자에게 강하게 의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.

(2) 불안정한 반응

  • 주양육자가 떠날 때와 돌아올 때 모두 큰 감정 변화를 보이며, 주양육자의 존재에 대한 불안정을 나타냅니다.
  • 주양육자가 돌아올 때 반가움과 동시에 불안한 감정을 혼합된 형태로 표현하기도 합니다.

(3) 일관되지 않은 탐색 행동

  • 새로운 환경에서 주양육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탐색 행동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  • 주양육자가 곁에 있을 때는 비교적 안심하고 탐색할 수 있지만, 주양육자가 떠나면 탐색 행동을 멈추고 불안해할 수 있습니다.

(4) 과도한 의존성

  • 주양육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며, 주양육자가 떠날 때 큰 불안을 느끼고 울음을 터트립니다.
  • 주양육자가 돌아왔을 때는 그에 대한 강한 애정과 의존을 표현하며, 주양육자의 주의를 계속해서 요구합니다.

(5)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

  • 낯선 사람에게 강한 경계를 보이며, 주양육자가 곁에 없을 때는 낯선 사람에게 접근하려 하지 않습니다.
  • 낯선 사람의 접근에 대해 울음이나 회피 행동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.

 

양가적 애착

 

2. 불안/양가적 애착유형 영아들의 주양육자가 주로 보이는 행동특성

불안/양가적 애착유형을 가진 영아들의 주양육자는 종종 일관되지 않은 양육 태도를 보이며, 영아에게 혼란과 불안을 일으킬 수 있는 행동을 합니다. 이러한 행동은 영아가 주양육자에게 강한 애정과 동시에 불안을 느끼게 만듭니다. 아래에 불안/양가적 애착유형 영아들의 주양육자가 주로 보이는 행동특성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
(1) 일관되지 않은 애정 표현

  • 주양육자는 영아에게 일관된 애정을 표현하지 않을 수 있으며, 때로는 애정을 보이고 때로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.
  • 영아가 필요로 할 때 주양육자가 반응하는 경우와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번갈아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(2) 과도한 걱정

  • 주양육자는 영아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하며, 영아의 안전과 건강에 대해 지나치게 신경을 쓸 수 있습니다.
  • 주양육자는 영아에게 과도한 보호를 제공하려 하며, 영아의 행동을 제약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(3) 부정적인 피드백 제공

  • 주양육자는 영아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제공하며, 영아의 행동에 대해 비판적일 수 있습니다.
  • 영아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에 대해 과도하게 꾸짖거나 비난할 수 있습니다.

(4) 양가적 감정 표현

  • 주양육자는 영아에게 애정을 표현하면서도 동시에 불안한 감정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.
  • 영아에게 애정을 주면서도 주양육자 스스로의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영아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.

(5) 의존적인 태도

  • 주양육자는 영아에게 과도하게 심리적으로 의존하며, 영아가 주양육자에게 의존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영아에게 자신의 감정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영아에게 지나치게 애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행동특성들은 불안/양가적 애착유형을 가진 영아들이 주양육자에게 강한 애정과 동시에 불안을 느끼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3. 불안/양가적 애착 유형 영아들의 두 가지 사례

(1) 사례 1: 강한 애정 요구와 불안정한 반응

1) 상황

  • 생후 15개월 된 예은이는 주양육자인 엄마와의 애착 형성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예은이는 엄마가 방을 떠날 때 큰 불안을 느끼며 울음을 터트립니다. 엄마가 돌아왔을 때도 불안해하며 울음을 멈추지 않습니다.

2) 행동

  • 예은이는 엄마에게 강한 애정을 요구하며, 엄마가 곁에 있을 때도 안겨 있으려고 합니다. 엄마가 예은이를 안아줄 때는 기뻐하면서도 동시에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, 엄마에게 강하게 매달립니다.
  • 예은이는 엄마가 떠날 때와 돌아올 때 모두 큰 감정 변화를 보이며, 주양육자의 존재에 대한 불안정을 나타냅니다.

(2) 사례 2: 과도한 의존성과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

1) 상황

  • 생후 18개월 된 지훈이는 주양육자인 아빠와의 애착 형성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지훈이는 아빠가 자리를 떠날 때 큰 불안을 느끼며 울음을 터트립니다. 아빠가 돌아왔을 때는 지나치게 기뻐하면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입니다.

2) 행동

  • 지훈이는 아빠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며, 아빠가 곁에 없을 때는 낯선 사람에게 접근하려 하지 않고 경계를 보입니다.
  • 아빠가 지훈이와 놀아줄 때는 아빠에게 강하게 매달리며, 아빠가 잠시 자리를 비울 때 큰 불안을 느끼고 울음을 터트립니다.
  • 지훈이는 낯선 사람의 접근에 대해 울음이나 회피 행동으로 반응하며, 주양육자의 존재에 대한 불안정을 나타냅니다.

이번 글은 불안정애착 중 불안/양가적 애착의 영아의 모습과 주양육자의 모습과 사례들을 살펴보았습니다. 어쩌면 사람들 중에는 이 애착유형이 가장 많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

이 글을 읽는 독자분께서는 자신 혹은 가족들의  애착유형을 파악해 보시면 좋겠군요. 그것이 개인과 가족의 변화의 첫출발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.

“불안/양가적 애착유형의 영아들: 존 볼비의 불안정애착(2)”에 대한 1개의 생각

  1. 핑백: 혼란형 애착유형의 영아들: 존 볼비의 불안정애착(3)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위로 스크롤